워드프레스를 처음 시작할 때는 도메인을 연결하는 것도 어렵게 느껴지곤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웨이즈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처음이 어렵지만 한 번만 해보면 쉽게 느껴질 것입니다.
1. 클라우드웨이즈 서버 생성 후 워드프레스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호스팅 회사에서 도메인을 구매 했다면 이제 도메인을 워드프레스에 연결할 차례입니다. 워드프레스는 설치형, 가입형, 관리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설치형
설치형은 사용자가 직접 워드프레스 파일을 다운로드 및 업로드를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컴퓨를 잘 하는 분들에게는 쉬울 수 있지만 초보에게는 상당히 어려운 장벽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가입형
가입형은 WordPress.com에서 가입해서 워드프레스를 설치하는 형태입니다. WordPress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 제약 사항이 많은 편입니다. 따라서 워드프레스의 최대 장점인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관리형
요즘 많은 분들이 가입형 및 설치형에서 관리형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관리형은 호스팅 업체에서 서버를 제공하고 워드프레스 설치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서버 관리, 백업, 트래픽 용량 관리까지 회사에서 관리해주기 때문에 개인이 신경쓸 부분이 최소화됩니다.
국내 및 해외의 다양한 관리형 업체 중에 클라우드웨이즈가 가장 빠르고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해외 호스팅을 사용해온 블로거 분들도 Cloudways로 옮기고 있는 추세입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 서버 생성 및 워드프레스 설치를 먼저 진행해주세요.
2. 구매한 도메인 사이트에서 DNS 레코드 설정을 한다.
도메인을 구매한 곳에서 DNS 레코드를 설정하겠습니다. 각 회사마다 조금씩 설정 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큰 틀에서 비슷하니 참고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사용하고 있는 가비아를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DNS 레코드 설정
호스팅 사이트에서 설정 메뉴에 접속해서 [DNS 레코드 설정] 메뉴를 선택합니다.
레코드 수정
연결할 도메인 명을 확인한 후 [설정]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레코드 수정]을 클릭합니다.
📌 레코드 입력값
타입 : A, 호스트 : @, 값/위치 : IP 주소, TTL : 600
타입 : CNAME, 호스트 : www, 값/위치 : 도메인 주소, TTL : 600
레코드 수정에서 몇 가지 값을 입력해주어야 합니다. 먼저 2가지 타입을 입력해야 합니다. [레코드 추가]를 선택하고 첫 번째 타입은 A를 선택, 호스트에는 @를 입력합니다. 값/위치에는 IP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IP주소는 클라우드웨이즈에서 복사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웨이즈 ➡️ Servers ➡️ Application Management ➡️ Access Details 메뉴에 접속합니다. Application Credentials에서 Public IP 주소를 클릭하면 IP 주소가 복사됩니다.
다시 DNS 레코드 수정으로 돌아와서 값/위치에 복사한 IP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TTL은 600으로 설정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레코드 추가]를 클릭해서 타입은 [CNAME], 호스트는 [www], 값/위치는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가비아에서는 주소를 입력할 때 도메인 마지막에 콤마[.]를 입력해야 합니다. TTL은 [600]을 입력하고 [저장]을 클릭하면 DNS 레코드 수정이 완료됩니다.
3. 클라우드웨이즈에 도메인을 연결한다.
가비아에서 도메인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제 클라우드웨이즈에 도메인을 연결할 차례입니다. 클라우드웨이즈에서 Application 메뉴를 선택하고 Domain Management를 선택합니다. 오른쪽에 있는 [ADD DOMAIN]을 클릭합니다.
http:// 또는 https://를 제외한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 후 [ADD DOMAIN]을 클릭합니다.
이제 클라우드웨이즈에 도메인이 추가되었고 주 도메인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추가한 도메인 오른쪽에 있는 [더보기] 버튼을 선택한 후 [Make Primary]를 선택합니다. 추가한 도메인의 타입이 PRIMARY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해주세요. (아래 사진에서는 thinknrich.com 도메인이 이미 추가되어 있어서 PRIMARY로 설정되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4. SSL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SSL을 설정할 차례입니다. SSL은 Secure Sockets Layer의 약어로 보안 소켓 계층 인증서를 의미합니다. 사용자와 서버 사이의 암호화된 연결에 필요한 인증절차입니다.
클라우드웨이즈의 Application에서 [SSL Certificate]를 선택합니다. [Domain Name 1]의 빈 칸에 도메인 주소를 입력하고 [SAVE CHANGES]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AUTO RENEWAL에서 Disable을 Enable로 변경해주세요. 이 기능은 SSL 인증서가 90일 마다 자동으로 리뉴얼 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입니다. 처음에만 설정해두면 이후에는 자동으로 기간이 연장됩니다.
이제 클라우드웨이즈에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절차가 끝났습니다. Application – Access Details 메뉴에서 생성된 워드프레스 URL 주소와 관리자 패널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소를 클릭하면 클립보드에 복사되니 워드프레스에 접속할 때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클라우드웨이즈 호스팅을 이용한 워드프레스 도메인 연결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처음 해볼 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설치형 같은 다른 형태의 워드프레스에 비해 쉬운 절차입니다. 한 번만 해보면 다음에 도메인을 연결할 때는 쉽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의 Cloudways 사용 방법도 참고 해보시기 바랍니다.